1. 변수의 정의와 사용법

  •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이름이 부여된 메모리 공간이다.
  • 각각의 변수는 식별자라는 고유의 이름을 가져야 한다.
  • 변수는 나중에 프로그램에서 변경 할 수 있는 데이터를 담는 메모리 공간으로 사용 된다.
a=1 #a라는 변수 안에 1을 저장하겠다는 뜻을 가지고 있음.
  • 파이썬은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정의선언이 필요하지 않다.
  • 변수의 이름은 길이에 관계 없이 대/소문자, 숫자, 밑줄(_) 을 조합해서 만들 수 있다.
  • 변수 이름에는 숫자가 포함 될 수 있지만, 변수 이름의 첫 번째로 사용 할 수 없다.
  • 변수 이름은 대/소문자를 구별한다, 변수에서 이름으로 적용하려면 첫 글자는 소문자로 시작하고 나머지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적는 camelCase 표기법을 적용 해야한다.
  • 파이썬은 변수 여러개를 한 번에 만들 수도 있다.
    생성 시에는 변수의 값과 생성 하려는 객체를 동일하게 맞춰 생성 해 주어야 에러가 나지 않는다.
a,b,c = 27, 36, 56
print (a)

--
#출력 데이터 27

 

[ camelCase 표기법 ]

  • 변수의 첫 글자는 소문자로 시작하고 나머지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적는 방법.
  • 낙타의 등 모양처럼 중간에 혹이 난 것 같이 글자의 중간에 대문자가 나오게 표기하는 방법을 말한다.

 

ex ) myName , myAdsee, myAge ...

 


 

02. 자료형의 종류 - 숫자열

[ 숫자열 ]

파이썬에서 지원하는 숫자 형식의 데이터를 뜻한다

숫자열의 종류 설명 예시 파이썬 사용 예시
정수형 음수, 양수, 0 1,2,3,100,0,-9,-99,-255 data = 99 , data = -25
실수형 소수점이 포함 된 실수 10.2,-9.37,0.23,-0.85 data = 99.12 , data = -352.11
복소수 허수를 표현하는 j와 정수 및 실수가 합쳐진 숫자 2+4j, 1.4-6.91j data = 2+3j

 

[ 참고사항 ]

복소수에서 나타나는 수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.

[ 𝑎+𝑏𝑖 ] 여기서 𝑎 실수 부분이고, 𝑏 허수. 여기서 𝑖 는 허수 단위이며, 파이썬에서는 허수 부분을 표현하기 위해 j 를 사용한다.

예를 들어, [ 3+2𝑖 ] 는 파이썬에서 [ 3 + 2j ]로 표현되는 것이다.

 


 

03. 자료형의 종류 - 문자열

[ 문자열 ]

파이썬에서 지원하는 문자 형식의 데이터

data = "it's python"
print(data)
--
#출력결과 : it's python
  • 문자열은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로 적용 된다 ( 'python' 과 "python" 동일 )
  • 파이썬에는 문자 자료형이 없다, 단일 문자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길이가 1인 문자열을 사용해야한다 ( ex : 'P' , "P" )
  • 문자열도 변수에 저장 될 수 있다, 변수에 저장 된 문자열은 print()를 사용하여 출력 할 수 있다. 
    또는 변수 이름만 적고 엔터키를 눌러도 출력이 가능하다

 

[ 문자열 연산하기 ] 

  • 모든 변수가 문자열이라면 문자열을 연결 할 수 있다.
a = "문자열"
b = " 연결하기"
print ( a+b )
--
# 출력결과 : 문자열 연결하기
  • 다만 숫자와 문자열을 함께 사용할 수 없으며, 숫자가 아닌 문자열로 구성 되어 있다면 연결이 가능하다
a = "100"
b = "점입니다!"
print ( a+b )
--
#출력결과 : 100 점입니다!
  • 연산을 사용하면 동일한 문자열을 반복시켜서 새로운 문자열을 생성 할 수 있다.
a = "어라 어째서 두번 입력이? "
print ( a*2 )
--
#출력결과 :어라 어째서 두번 입력이? 어라 어째서 두번 입력이?

 

[ 문자열 인덱싱 ] 

  • 문자열 안에 저장된 문자들은 0부터 시작하는 번호가 매겨져 있다. 이 번호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를 추출 할 수 있는데 이것을 인덱스(index)라고 부른다
  • 파이썬은 0부터 숫자를 세며, 문자열 안에 저장된 문자들을 불러오기 위해서는 대괄호를 사용해야한다

  • 첫번째 영문자 O의 인덱스는 0으로 시작하고, 마지막 기호인 ! 기호는 인덱스가 9이다.
  • 문자열 뒤에서 부터 읽어오고 싶을 때는 음수 기호를 붙이면 빠르게 불러 올 수 있다
mystr = 'Oh my God! I won the lottery!'
print (mystr[1]) #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저장하므로, 해당 형식으로 불러 올 수 있다.
#출력결과 : h

print (mystr[-1]) #뒤에서 부터 읽어오기 위해서는 음수 기호를 넣어야 한다, 물론 앞에서 부터 불러 올 수도 있다.
#출력결과 : !

print (mystr[0:4]) #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하려면, 대괄호 사이의 콜론을 사용하여 슬라이싱 할 수 있다.
#출력결과 : Oh m